+
메인 > 독학학위제도 > 독학 학위제란?
						대학교를 다니지 않아도 스스로 공부하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. 일과 학습의 병행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						언제나,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평생학습시대의 자아실현을 위한 제도입니다.
						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. 학위취득시험은 4개의 과정(교양과정, 전공기초과정, 전공심화과정, 학위취득 종합시험)으로 이루어져 있으며
각 과정별 시험을 모두 거쳐 학위취득 종합시험에 합격하면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.
					
독학학위취득 시험은 총 11개 전공이 개설되어 있습니다.
				| 구분 | 과정 | 접수 | 시험 | 시험과목수 | 평가수준 | 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필수 | 선택 | 합계 | |||||
| 1과정 | 교양 과정 | 매년  1~2월경  | 
								매년  2~3월경  | 
								국어, 국사, 외국어 | 전공에 관계 없이  15과목 중 택 2  | 
								5 | 대학의 교양과정을 이수한 사람이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학력 수준을 평가합니다.  | 
							
| 2과정 | 전공기초과정  인정시험  | 
								매년  4월경  | 
								매년  5월경  | 
								없음 | 전공별 지정된  8과목 중 택 6  | 
								6 | 각 전공영역의 학문 연구를 위하여 각 학문계열에서 공통 적으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평가합니다.  | 
							
| 3과정 | 전공심화과정  인정시험  | 
								매년  7월경  | 
								매년  8월경  | 
								없음 | 전공별 지정된  8과목 중 택 6  | 
								6 | 각 전공영역에 관하여 보다 심화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평가합니다. | 
| 4과정 | 학위취득  종합시험  | 
								매년  9~10월경  | 
								매년  10~11월경  | 
								전공 학과별 지정된 4과목  | 
								국어, 국사, 외국어 중  택 2  | 
								6 | 시험의 최종단계로 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소양과 전문지식 및 기술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. | 
						⌈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에 관한 법률⌋일부개정(2015.03.27)에 따라 2016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1~3과정 (교양과정, 전공기초과 정 및 전공심화과정) 시험에
자유롭게 응시가 가능합니다. 
						단, 학사학위 취득을 위한 마지막 과정인 학위취득 종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1~3과정 시험에 모두 합격(면제)하거나, 학위취득 종합시험 응시자격에 충족해야 합니다.
					
| 구분 | 과정 | 응시자격 | 면제대상 | 
|---|---|---|---|
| 1과정 | 교양 과정 | 
									
  | 
								
									
  | 
							
| 2과정 | 전공기초과정  인정시험  | 
								
									[독학사 응시 하고자 하는 학과와 동일전공인정 학과에 한함]
									
  | 
							|
| 3과정 | 전공심화과정  인정시험  | 
								
									[독학사 응시 하고자 하는 학과와 동일전공인정 학과에 한함]
									
  | 
							|
| 4과정 | 학위취득  종합시험  | 
								
									
  | 
								- | 
| 유야교육학과  정보통신학과  | 
								
									
  | 
							||
| 간호학과 | 
									
  |